소개
C#에서는 실수형 변수를 선언하여 부동 소수점 방식과 고정 소수점 방식으로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에서 제공하는 실수형 변수 중 decimal, float(single), double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 변수가 사용하는 고정 소수점 방식과 부동 소수점 방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decimal
decimal은 C#에서 고정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는 실수형 변수 중 하나입니다. decimal은 128비트 부호 있는 실수형 변수로, 28자리의 정밀도를 가집니다. 이는 매우 큰 수나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많은 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ecimal 변수를 선언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decimal myDecimal = 123.45m;
float
float는 C#에서 부동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는 실수형 변수 중 하나입니다. float는 32비트 부호 있는 실수형 변수로, 7자리의 정밀도를 가집니다. 이는 decimal보다 작은 수를 다룰 때 사용합니다. float 변수를 선언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float myFloat = 12.34f;
double
double은 C#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동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는 실수형 변수 중 하나입니다. double은 64비트 부호 있는 실수형 변수로, 15자리의 정밀도를 가집니다. 이는 float보다 큰 수를 다룰 때 사용합니다. double 변수를 선언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double myDouble = 12.345;
고정 소수점 방식
고정 소수점 방식은 소수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decimal 변수에서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실수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누어 저장하며, 정수부와 소수부를 각각 따로 저장합니다. 이 방식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많은 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동 소수점 방식
부동 소수점 방식은 소수점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방식으로, float과 double 변수에서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실수를 가수와 지수로 나누어 저장하며, 가수와 지수를 각각 따로 저장합니다. 이 방식은 소수점 이하 자리수가 적은 수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정확한 값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론
C#에서는 실수형 변수를 고정 소수점 방식과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나누어 제공합니다. decimal은 고정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여 정확한 값을 표현할 수 있으며, float과 double은 부동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변수를 선택할 때 자신이 다루어야 할 수의 범위와 정확도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Local Function (0) | 2023.06.26 |
---|---|
C# 튜플 자료형 (1) | 2023.06.20 |
C# 패턴식 switch문 (0) | 2023.06.15 |
C# Boxing (0) | 2023.06.12 |
C# Jump 문 : break, continue, return, goto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