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가져올 때 키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
Unity/Firebase
Firebase Database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 해당 데이터에 특정 키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를 가져올 때, 해당 사용자의 이름 키값이 존재하는지 검사해야 할 수 있습니다. Unity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Firebase Database의 DataSnapshot 클래스의 HasChild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HasChild 메서드는 DataSnapshot에 지정된 키값이 있는지 여부를 반환합니다. True를 반환하면 키값이 존재하고, False를 반환하면 키값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HasChild 메서드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Firebase; public class MyClass ..
2024.01.06 키운지 4년이 넘은 베타
·
Hobby/물생활
4년째 함께하고 있는 노령 베타 수명이 3-5년이라고 하는데 아직도 암컷 붙여주면 알짜기도 하고 건강한 아이🐠 잘 나오진 않았지만 그나마 건진 📷 위에 있는 베타의 아이!!! 😀😀😀 가장 이쁜 수컷 두마리는 분양 보냈지만 그래두 얘도 엄청 이쁘다 🥰🥰🥰
콜라이더 충돌 검사 : Physics.Overlap vs NonAlloc
·
Unity/Tip
Unity의 Physics.Overlap[콜라이더이름] 메서드는 지정된 영역 내에서 콜라이더와 충돌하는 GameObject를 찾는 데 사용되는 메서드입니다. 이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일반 버전: 이 버전은 충돌하는 GameObject의 배열을 반환합니다. NonAlloc 버전: 이 버전은 충돌하는 GameObject의 참조를 반환합니다. OverlapSphere() VS OverlapSphereNonAlloc() Physics.OverlapSphere() Physics.OverlapSphereNonAlloc() 메모리 사용량 새로운 배열을 할당하여 결과를 반환 기존 배열을 사용하여 결과를 반환 성능 메모리 할당 및 해제 과정이 추가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 메모리 할당 및 해..
2023.12.28 고구마 그리고 베타
·
Hobby/물생활
고구마 여과기 성능이 좋다고 해서 한번 써봤는데 엄청 크게 자라네요😅😅😅 줄기를 한번 잘라줘야 할지 심히 고민되는 사이즈 수질 테스트기가 없어서 객관적인 판단은 못하지만 아이들 상태를보면 좋은것 같네요👍👍👍 밥만 잘 줬는데 사람 무서워하지 않고 밥 달라고 달려드는 베타들... 분명 2시간전에 줬는데 아직 한창 클 때라 그런지 밥을 많이 요구하네요 ㅎㅎ 아는 지인한테 6마리 분양하고 2마리는 번식 시도중이라 어항이 좀 휑하네요 분양하기 전인 2주전 아이들 하루하루 엄청 자라요 🥰🥰🥰
유니티의 메타(meta) 파일은 무엇인가?
·
Unity/Tip
메타 파일이란?? 유니티에서 Asset을 Import하거나 새로운 파일을 (유니티 Assets폴더 안에) 생성하면 Unity 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유일한 ID값을 할당한다. Unity는 새로운 Asset을 발견하면 바로 그 Asset에게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Unique 한 ID를 부여한다. 이 ID는 유니티 내부적으로 Asset을 참조하는데 쓰인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니티는 Asset의 이름을 수정하거나 위치를 바꿔도 부여한 ID를 통해 그 Asset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메타 파일을 생성한다. 메타 파일은 Asset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값과 그 Asset에 대한 설정 값, 예를 들어서 크기, pivot 위치, 상태, ... 등,을 저장하는 파일이다. 메타 파일은 Asset이 존..
AssetDatabase 클래스를 사용하여 스크립트에서 에셋 생성 및 수정
·
Unity/Tip
Unity에서 에셋은 게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에셋에는 모델, 애니메이션, 사운드, 텍스처, 스크립트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Unity에서는 스크립트에서 에셋을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AssetDatabase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AssetDatabase 클래스 AssetDatabase 클래스는 에셋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Unity의 기본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는 에셋을 생성, 삭제, 수정, 검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셋 생성 AssetDatabase 클래스를 사용하여 에셋을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합니다. AssetDatabase.CreateAsset()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메서드의 인수로 에셋의 데이터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Unity에서 패키지의 버전을 변경하는 방법
·
Unity/Tip
Unity에서 패키지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PackageManager를 사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manifest.json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PackageManager를 사용하여 패키지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패키지 매니저 창에서 패키지를 선택하고, 버전 드롭다운 목록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면 됩니다. 하지만,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여 패키지 버전을 다운그레이드하는 것은 약간 복잡합니다. 패키지의 종속성이 충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anifest.json을 사용하여 패키지 버전을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 manifest.json은 패키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JSON 형식의 파일입니다. 버전 변경하는 방법 mani..
객체 생성 : Activator.CreateInstance와 new(T)
·
C#
C#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Activator.CreateInstance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new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Activator.CreateInstance Activator.CreateInstance 함수는 지정된 형식의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인수를 사용합니다. 형식: 생성할 객체의 형식 인수: 생성할 객체에 전달할 인수 Activator.CreateInstance 함수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기본 생성자: 지정된 형식의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합니다. 지정된 생성자: 지정된 생성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합니다.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여 객체..